385 bookmarks
Newest
코스믹 호러의 게임적 변용
코스믹 호러의 게임적 변용
이토 준지풍의 그림체와 크툴루 세계관이 결합된 공포의 세계의 장점 역시 동일하다. 그로테스크하고 이질적으로 변화한 마을 구성원들을 일상에서 마주칠 수 있다는 소름 돋는 경험이야말로 등대에 강림할 고대신보다 공포스러운 일이다. 내가 온전히 나로 존재할 수 있다는 확신은 일상의 궤도에서 이상 징후와 균열을 발견할 때 불안으로 변모하기 때문이다.
·gamegeneration.or.kr·
코스믹 호러의 게임적 변용
리듬 게임, 가장 빈곤해서 가장 자유로운(우수상)
리듬 게임, 가장 빈곤해서 가장 자유로운(우수상)
거듭 말하자면 리듬 게임은 빈곤한 장르다. 그러나 그 빈곤함은 게임 일반에 공통된 특정한 요소를 급진적으로 밀어붙임으로써 세공된 빈곤함이다. 가위바위보를 할 때조차도 우리는 상대와 ‘동시’에 손을 내밀어야 하고, “안 내면 술래”다. 동궤에서 리듬 게임은 유한하고 폐쇄적인 장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그 유한성과 폐쇄성 덕분에 우리는 극도의 해방감을 체험하게 된다.
많은 수의 게임이 리듬 게임으로 환원될 수 있을 것처럼, 혹은 적어도 리듬 게임이 게임의 어떤 본질적 면모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인다는 데 있다. 예컨대 유튜브에 많이 올라와 있는 〈슈퍼마리오Super Mario〉 시리즈의 타임 어택(-최단 시간에 게임을 클리어해서 엔딩을 보는 플레이) 영상들에서 고수들은 〈슈퍼마리오〉를 마치 리듬 게임처럼 플레이하는데, 이때 횡스크롤로 진행되는 〈슈퍼마리오〉의 스테이지는 〈비트매니아〉의 악보와 아주 유사한 무언가가 되어버린다. 스테이지의 설계를 속속들이 알고 있는 〈슈퍼마리오〉 고수는 악보를 외운 〈비트매니아〉 고수와 다를 바 없다. 둘은 모두 자신이 플레이하는 게임을 완전히 소진시킨 이들이다. 리듬 게임의 경구를 비틀어 인용하자면, ‘거북이가 오기 때문에 마리오가 점프하는 것이 아니라 마리오가 점프한 자리에 거북이가 오는 것’이다. 비단 〈슈퍼마리오〉의 경우에만 그런 것이 아니다. 단순한 부류부터 복잡한 부류까지 모든 게임에는 타자와의 동기화를 통한 소진이 전부인 국면, 즉 리듬 게임을 닮는 국면이 존재하며, 이는 게임의 재미 일반을 설명하는 건 아닐지라도 오로지 게임에서만 합법적으로 수용되는 쾌감이라는 점에서 게임 특유의 것이다.
타자에게 나를 한 끗의 오차도 없이 딱 맞췄다는 감각, 그래서 내가 더 이상 내가 아니게 되었다는 감각은 곧 나를 가장 굳건하게 속박하고 있는 ‘자기’가 소산消散되는 감각으로, 게임 외의 영역에서는 거의 느낄 수 없는 것이다. 리듬 게임은 빈곤하고 유한하고 폐쇄적이기 때문에 우리로 하여금 독특한 자유로움, 자기 자신으로부터 해방되는 이 자유로움을 맛보게 만든다.
·gamegeneration.or.kr·
리듬 게임, 가장 빈곤해서 가장 자유로운(우수상)
How did Facebook intercept their competitor's encrypted mobile app traffic?
How did Facebook intercept their competitor's encrypted mobile app traffic?
A technical investigation into information uncovered in a class action lawsuit that Facebook had intercepted encrypted traffic from user's devices running the Onavo Protect app in order to gain competitive insights.
·doubleagent.net·
How did Facebook intercept their competitor's encrypted mobile app traffic?
The Stanley Parable development call
The Stanley Parable development call
This audio was recorded on February 6, 2013, during a skype call between William Pugh and Davey Wreden, discussing the development of The Stanley Parable.
·m.youtube.com·
The Stanley Parable development call
Today I replayed The Beginner's Guide for the first time since it launched, close to a decade ago. It's funny because in many ways the game is so tight and cohesive and genuine, I really love how sincere it is. Like a gentle hug.
Today I replayed The Beginner's Guide for the first time since it launched, close to a decade ago. It's funny because in many ways the game is so tight and cohesive and genuine, I really love how sincere it is. Like a gentle hug.
— Davey Wreden (@HelloCakebread)
·x.com·
Today I replayed The Beginner's Guide for the first time since it launched, close to a decade ago. It's funny because in many ways the game is so tight and cohesive and genuine, I really love how sincere it is. Like a gentle hug.
FAKE FRIENDS EPISODE TWO: parasocial hell
FAKE FRIENDS EPISODE TWO: parasocial hell
it's done!!!!https://www.patreon.com/StrucciMovieshttps://ko-fi.com/C0C85YYTEpisode one: https://www.youtube.com/watch?v=x3vD_CAYt4gUncanny Valley essay: htt...
·youtu.be·
FAKE FRIENDS EPISODE TWO: parasocial hell
Procedurally Generating History in Caves of Qud
Procedurally Generating History in Caves of Qud
In this 2018 GDC talk, Freehold Games' Jason Grinblat walks through the novel approach he used to generate histories for Caves of Qud, laying out some common...
·youtu.be·
Procedurally Generating History in Caves of Qud
Cookie Clicker Explained
Cookie Clicker Explained

"its nature is to exploit everything around it for its own expansion. Every part of life is pervert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economy. Nothing is too sacred to be sacrificed on its altar. And for what?

Even those with the most cookies don't really benefit from the system - past a certain level of wealth, you can never spend that many cookies.

And it's not like the game ever ends. You cannot win. You just keep making cookies until you stop or you die. You're just holding cookies for its own sake. It's not really about the cookies - it's about accumulation, getting more. You could be collecting any meaningless number.

Any system of endless growth, of singular purpose, that warps the whole world around one goal - can only grow until it self-destructs.

And the only way we can escape such a game is to stop playing."

·youtu.be·
Cookie Clicker Explained
[LCK 준결승 칼럼] 두 미드 라이너, 각자의 위치에서
[LCK 준결승 칼럼] 두 미드 라이너, 각자의 위치에서
두 선수는 언젠간 교차하게 될 것이다. '페이커'가 내려가는 지점과 '쵸비'가 올라가는 지점에서. 하지만 그 순간이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페이커'는 여전히 승리와 트로피를 원하고 그만한 가치를 자신의 손가락에 지니고 있다. '페이커'는 오랜 평행을, '쵸비'는 당장 교차를 원할 뿐이다.
·m.sports.naver.com·
[LCK 준결승 칼럼] 두 미드 라이너, 각자의 위치에서
동시대미술에 대한 발췌된 답변들
동시대미술에 대한 발췌된 답변들
여기서 나는 ‘동시대미술’에 대한 설문 조사(추후 『옥토버October』지에 실렸다)에 답한 몇몇 대답들을 인용하는 것만으로 글을 구성할까 한다. 우선 나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동시대미술’이라는 범주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새로운 것은 동시대미술의 혼종성에 나타나는 감각으로, 현재 벌어지는 사례 중 다수가 역사적 결정이나 개념적 정의, 비평적 판단과 무관하게 부유하는 듯한 현상을 뜻한다. 한때 일부 작품과 이론을 좌우했던, ‘네오 아방가르드’와 ‘포스트모더니즘’ 같은 패러다임들은 궁지에 빠졌고, 대신 등장한 지적 세력이나
·tigersprung.org·
동시대미술에 대한 발췌된 답변들
IMG_0826.gif
IMG_0826.gif
In your beauty lives again Elaine, the lily maid, love dreaming at Astolat.
·up.raindrop.io·
IMG_0826.gif
IMG_0822.png
IMG_0822.png
Herbert List, Reflections of St. Marco, Venice, 1953
·up.raindrop.io·
IMG_0822.png
페르소나 3 리로드 일본 정치와 함께 톺아보기
페르소나 3 리로드 일본 정치와 함께 톺아보기
페르소나 3는 페르소나 시리즈 전체로 보면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여신전생 시리즈의 외전 격으로 개발된 시리즈의 핵심 정체성을 확립한 타이틀이기 때문이다. 여신전생 시리즈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던전RPG를 표방하는데, 던전 탐색에 악마 소환 및 합체를 결합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페르소나 시리즈도 큰 틀에서는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고전 시절의 1인칭 시점을 고수하진 않지만, 게임의 핵심 축은 여전히 던전과 전투이다.
·gamegeneration.or.kr·
페르소나 3 리로드 일본 정치와 함께 톺아보기
Steam Community :: Guide :: 5d Chess Game Sheet And Matrix Notation
Steam Community :: Guide :: 5d Chess Game Sheet And Matrix Notation
This guide contains a spreadsheet for recording 5d chess and a notation system that goes along with that spreadsheet. I hope that this form of notation can be more accessible and readable to those who
·steamcommunity.com·
Steam Community :: Guide :: 5d Chess Game Sheet And Matrix Notation
On the internet, you can, in some sense, live forever
On the internet, you can, in some sense, live forever
Read to the end for a good TikTok duet
On May 8th, Elon Musk announced Twitter would be “purging accounts that have had no activity at all for several years.” And so I’ve been going back to her account a lot lately. Obviously, Musk is a compulsive liar and nothing he says ever happens the way he says it will, so there’s a possibility her account stays up, but the threat was enough to have led me to start researching ways to archive it. But there really aren’t any good ones. There are ways to archive an account’s most recent 3,000 tweets, but she posted A LOT. So I’ve resigned myself to the idea that one day I will search her username on Twitter and it just won’t be there anymore. But it’s not just Twitter that’s updating their policies. Image-sharing site Imgur announced that they’re “removing old, unused, and inactive content that is not tied to an account” and, just this week, Google announced a similar plan to remove Google accounts after two years of inactivity. I’m sure you’ve heard the old aphorism that everyone dies twice. Now, it seems, we die three times. First, when you stop breathing, second, when a corporation deletes your account, and, third, when someone says your name for the last time. I’ll be realistic here. I don’t think we should expect every company to keep our content forever, but I also don’t think they should get to unilaterally shrink the internet because they’re tired of being responsible for its upkeep. The internet shouldn’t be a handful of company towns that can pull up their stakes and leave when the data mine is tapped. Erasing old content is, also, a fundamental betrayal of what the internet was created for. It was meant to be an infinitely expanding space of unlimited discovery. One that exists beyond what was possible in the physical world. You could be whoever you want, talk to whoever you want, and interact non-linearly across time and space. And a lot of companies got very rich by offering us the opposite: walled gardens and passive algorithmic recommendations jammed into linear feeds, which they marketed as more secure, more convenient, and more entertaining. But there also really isn’t “inactive” content. Not really. It’s just dormant. As long as it’s online, it’s still just as alive as it was when it was first posted. For instance, my friend was once posthumously “canceled” by far-right influencers. She tweeted a lot with people who would eventually work in media and her extremely wild tweets got swept up in some culture war bull shit that no one cares about anymore. The morning it all started kicking off, I opened Twitter and there she was again on my feed. No one seemed to have noticed she had been dead for years. I know she would have gotten a big kick out of it. And, yeah, the whole thing was definitely surreal, but it was also sort nice. Because on the internet, you can, in some sense, live forever. The signals we broadcast out into the void don’t have to fade away if we don’t want them to.
5월 8일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가 "활동 이력이 몇년간 없는 계정을 정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래서 최근 그녀의 계정을 많이 접속하곤 했다. 명백히 머스크는 충동적 거짓말쟁이고 그가 일어날 거라 장담하는 방식대로 벌어지는 일은 없으니, 그녀의 계정이 계속 살아있을 가능성도 있지만, 그정도면 내게 그 계정을 아카이브할 방법을 연구하게 만들기에는 충분했다. 그녀의 가장 최근 3,000 트윗을 아카이브할 방법들은 있지만, 그녀는 글을 *많이* 올렸다. 그래서 언젠가 그녀의 유저네임을 트위터에 서치하면 아무 것도 보이지 않으리라는 생각을 받아들였다. 하지만 정책을 갱신하는 것이 트위터만은 아니다. 이미지 공유 사이트 Imgur는 "계정에 연결되지 않은 오래된, 사용되지 않는, 비활성 컨텐츠를 제거"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바로 이번 주, 구글은 2년간 활동 이력이 없는 계정을 삭제하겠다는 비슷한 계획을 발표했다. 모든 사람은 두 번 죽는다는 오래된 경구를 들어봤을 것이다. 이제, 보이기로, 우리는 세 번 죽는다. 첫째, 당신이 숨을 멈출 때, 둘째, 기업이 당신의 계정을 삭제할 때, 그리고 셋째, 누군가 당신의 이름을 마지막으로 말할 때. 현실적으로 바라보겠다. 모든 회사들이 우리 데이터를 영원히 간직하기를 기대해서는 안 되나, 보존 책임에 지쳤다는 이유로 그들이 독단적으로 인터넷을 축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인터넷은 데이터 광산이 다 캐지고 나면 철수할 수 있는 소수 기업들의 마을이어서는 안 된다. 오래된 컨텐츠를 지우는 행위는 또한 인터넷이 만들어진 목적에 대한 배반이기도 하다. 인터넷은 무한한 발견과 확장의 공간으로 만들어졌다. 물리적 세계의 가능성 너머에 존재하는 것. 당신은 원하는 무엇이든 될 수 있고, 원하는 누구와도 대화할 수 있고, 시공간을 가로질러 비선형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기업들은 그 정반대를 제공함으로써 부유해졌다. 벽으로 둘러싸인 정원과 선형적 피드에 밀어넣은 수동적 알고리즘 추천들. 더 보안적이고, 편리하고, 재미있는 것으로 마케팅되었던. 하지만 실제로 "비활성" 컨텐츠 같은 건 없다. 잠들어 있을 뿐. 온라인인 한 그것들은 처음 게시되었던 당시만큼이나 생동한다. 예를 들어, 내 친구는 사후 극우 인플루언서들에 의해 "캔슬된" 적이 있다. 그녀는 이후 미디어 업계에서 일하게 될 사람들과 트윗을 많이 나눴는데 그중 날것의 트윗들이 이젠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어떤 문화전쟁 헛소리에 휩쓸려갔다. 그 모든 것들이 시작되던 아침, 트위터를 열어보니 그녀는 다시 내 피드에 있었다. 그녀가 몇 년간 죽어 있었다는 걸 눈치챈 사람은 없어 보였다. 그녀는 이 일을 꽤 재미있어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일들은 분명 초현실적으로 다가왔는데, 좋기도 했다. 인터넷에서, 당신은, 어떤 의미에서, 영원히 살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허공으로 송출하는 신호들은 원하지 않는다면 사라지지 않아도 된다.
·garbageday.email·
On the internet, you can, in some sense, live forever
live through this
live through this
an existential autumn prologue
Stealing lines from people who can articulate it all better. Being more of an amalgamation than an anomaly.
Sometimes, when I fall in love, I convince myself that being toyed with means to be touched regardless. I can learn to live with it.
·lexaprophet.substack.com·
live through this
Quantum Suicide, Decision Theory, and The Multiverse
Quantum Suicide, Decision Theory, and The Multiverse
From a sufficiently 5&10ed frame, the “impossibility” of resisting domination will manifest through progressively greater submission, unto the inevitable destruction of the agent. T…
·voidgoddess.org·
Quantum Suicide, Decision Theory, and The Multiverse
Gospels of the Flood
Gospels of the Flood
An audio drama about faith and doubt starring Peter Wingfield. Written and directed by Jonas Kyratzes. Music and sound by Chris Christodoulou.
·gospelsoftheflood.com·
Gospels of the Fl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