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5 bookmarks
Newest
평화주의자는 게임에서 총을 쏠 수 있는가?
평화주의자는 게임에서 총을 쏠 수 있는가?
‘평화주의자는 게임에서 총을 쏠 수 있는가?’라는 문장은 매체를 통해 재현되는 전쟁의 문제, 윤리와 당위의 문제, 현실과 가상이라는 구분의 문제 등 다양한 층위의 함의를 지닌다. 이 글은 게임과 전쟁, 폭력에 관해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진다.
·gamegeneration.or.kr·
평화주의자는 게임에서 총을 쏠 수 있는가?
I Deleted My Second Brain
I Deleted My Second Brain
Why I Erased 10,000 Notes, 7 Years of Ideas, and Every Thought I Tried to Save
·joanwestenberg.com·
I Deleted My Second Brain
EXTRA: Spilling the tea with Wanderstop's Davey Wreden & Karla Zimonja - Indieventure
EXTRA: Spilling the tea with Wanderstop's Davey Wreden & Karla Zimonja - Indieventure
Liam recently sat down with Davey Wreden (The Stanley Parable, The Beginner's Guide) and Karla Zimonja (Gone Home) to chat about Wanderstop, their recently released game about a burned-out warrior attempting to find solace by running a tea shop in the woods.
·indieventurepodcast.co.uk·
EXTRA: Spilling the tea with Wanderstop's Davey Wreden & Karla Zimonja - Indieventure
Steam Community :: Mangetsu :: Review for The Talos Principle: Reawakened Demo
Steam Community :: Mangetsu :: Review for The Talos Principle: Reawakened Demo
It pains me to say so, but I can't recommend this. Somehow, it is even more of a blurry artefacted mess than TTP2 was (or many other UE5-powered games, and non-UE5 games with "modern" rendering pipeline, thanks to all the temporal junk). But TTP2 was a first game after abandoning Serious Engine in favor of Unreal Engine 5 (I was willing to forgive some problems because of that), and overall art direction hid away many graphical problems.
·steamcommunity.com·
Steam Community :: Mangetsu :: Review for The Talos Principle: Reawakened Demo
Claude 3.7 Sonnet and Claude Code \ Anthropic
Claude 3.7 Sonnet and Claude Code \ Anthropic
Today, we’re announcing Claude 3.7 Sonnet, our most intelligent model to date and the first hybrid reasoning model generally available on the market.
·anthropic.com·
Claude 3.7 Sonnet and Claude Code \ Anthropic
How to create a universe
How to create a univer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 to expound the specification of a universe, according to those parts of mathematical physics which have been experimentally and observationally verified in our own universe; and (ii) to expound the possible means of creating a universe in the laboratory.
·arxiv.org·
How to create a universe
YOU WILL REMEMBER, YOU HAVE NOT FORGOTTEN
YOU WILL REMEMBER, YOU HAVE NOT FORGOTTEN
Four years ago, a girl I know wrote an essay about LSD and the journey towards enlightenment it had taken her on. At that point I had already taken acid quite a few times, I had already meditated s…
·voidgoddess.org·
YOU WILL REMEMBER, YOU HAVE NOT FORGOTTEN
soulmates
soulmates
Stream soulmates by Yusei on desktop and mobile. Play over 320 million tracks for free on SoundCloud.
·m.soundcloud.com·
soulmates
게임 비평의 가치
게임 비평의 가치
게임 얘기를 했더니, 어떤 분이 질문을 주셨다. 징기즈칸 4의 내용이 극우(일본적 맥락에서)적이라 문제라며 게임 밸런스 패치를 하는 사람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이 분이 그런 의도 같지는 않은데, 가끔 이런 식의 질문에 내포돼있는 논리게임적 전략이 있는 경우를 발견한다. 이준석식으로 말하면 연습문제랄까? 게임-검열-꼰대로 이어지는 의구심을 네가…
·weirdhat.net·
게임 비평의 가치
플레이시간의 자본주의적 상품관계 - 탕진의 재미와 축적의 재미
플레이시간의 자본주의적 상품관계 - 탕진의 재미와 축적의 재미
온라인게임 시대가 만들어낸 이 변화는 놀이 역사에서 보기 드문 전환을 만들어냈다. 노는 일이 돈으로 사고 팔 수 있는 무언가가 되었다는 것이다. 놀이의 본질은 일종의 무용함, 생산의 시간에 맞선 시간 탕진의 즐거움에 가까웠지만, 모든 것을 상품화하는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는 그 무용함의 효용마저도 상품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후이기도 하다.
·gamegeneration.or.kr·
플레이시간의 자본주의적 상품관계 - 탕진의 재미와 축적의 재미
Welcome to the Eternal Season - SUMMER ETERNAL
Welcome to the Eternal Season - SUMMER ETERNAL
Summer Eternal is a brand new project in collective art-making, developing counter-cultural computer role-playing games with a commitment to worker co-ownership and artistic integrity.
·summereternal.com·
Welcome to the Eternal Season - SUMMER ETERNAL
Farewell to the car CD player, source of weirdly deep musical fandoms | Hacker News
Farewell to the car CD player, source of weirdly deep musical fandoms | Hacker News
My thoughts: Nowadays we may have deep and weird attachments with algorithms. I don't know if this is a bad or honestly even a new thing. The music industry and its attempt to market music could be considered a type of algorithm, or even multiple algorithms. Defining and marketing genres of music "algorithmizes" the product I think - if genre X sells, then more musicians will try to call their music genre X and maybe even modify their product. And people who grew up in the physical medium heydays of the 60s through the mid 90s are definitely attached to their preferences.
·news.ycombinator.com·
Farewell to the car CD player, source of weirdly deep musical fandoms | Hacker News
의식은 데이터인가?
의식은 데이터인가?
쓰다 보니까 어제 본 칼럼도 기억이 나서 적어 놓는다. 아래의 글…. 얼마 전 뉴욕타임스(NYT)에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코넬대 등 6개 기관의 신경학자로 이뤄진 연구팀이 241명의 식물인간 등 의식의 징후가 없는 환자에게 ‘테니스를 치는 상상’ 등을 주입했더니 4명 중 1명이 건강한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뇌파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이들…
·weirdhat.net·
의식은 데이터인가?
어떻게 비평 '제도'를 해체할 것인가?
어떻게 비평 '제도'를 해체할 것인가?
어떻게 비평 '제도'를 해체할 것인가? -롤랑 바르트의 비평 이론에 대하여 조지훈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이 글은 23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제도 비평 대 아마추어 비평 소르본 대학의 권위 있는 라신(프랑스 극작가) 연구자 레이몽 피카르(Raymond Picard)는 1965년 「새로운 비평인가 새로운 사기인가?」라는 팜플릿을 통해, 박사학위도 취득하지 않는 어느 아마추어 비평가의 라신 비평집을 저격한다. 이 책의 어휘는 생물학, 정신분석, 철학 등에서 빌려온 것이며, 여러 분야에서 만나게 되는 신어를 본 따서 솜씨 있게 만든 상당수의 신조어를 포함하고 있다. 나는 비평가에게 은어를 쓴다고 비난하는 자는 아니다. 그것은 은어이니까 말이다. (...) 바르트의 은어는 완전히 다른 효과를 내고 있다. 순진..
·en-movement.net·
어떻게 비평 '제도'를 해체할 것인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최근 얘기가 심신문제에서 갖는 시사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최근 얘기가 심신문제에서 갖는 시사점
어제 쓴 얘기를 생각해보다가…. 기능주의의 한계를 얘기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가령 이런 질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근의 BCI 연구 동향은 ‘동일론’과 ‘다수실현논변’ 중 어느 쪽을 지지하는가? 동일론(identity theory)은 쉽게 말하면 뇌와 마음이 1대 1로 대응한다고 보는 개념이다. 즉, 마음은 뇌에 대응한다. 뇌를 조작할 수 있다면…
·weirdhat.net·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최근 얘기가 심신문제에서 갖는 시사점